1999년 08월 14일 制定
2004년 02월 28일 改正
2008년 10월 30일 改正
2013년 08월 24일 改正
2015년 05월 01일 改正
2019년 09월 25일 改正
2019년 12월 26일 改正
2020년 06월 24일 改正
2021년 08월 10일 改正
2023년 12월 26일 改正
제1장 총칙 (목적 및 편집 위원회)
제1조 (규정의 목적)
이 규정은 사단법인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가 정기적·공식적으로 발간하는 ‘학회지’로서 순수 학술논문지를 표방하는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Korean System Dynamics Review)』의 발행·편집·심사에 관한 제반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편집 위원회)
본 규정에 정한 사항을 집행하고 기타 학회지 관련 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해 본 학회 내에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편집위원회를 둔다.
제3조 (편집 위원회 구성)
① 편집위원회는 학식과 덕망이 있으며, 시스템다이내믹스에 관한 전문적 지식이 있는 이 분야의 최고의 권위자로 구성한다.
② 편집위원회의 정원은 덕망과 전문성, 연구실적, 지역분포를 고려하여 15명 내외로 한다.
③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은 상임이사회에서 선출하며, 학회장이 임명한다.
④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제4조 (편집 위원회 의무, 권한)
① 편집위원회는 본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인『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의 내용구성, 투고논문 심사위원 선정, 심사결과에 대한 평가, 투고자와 심사자 간의 의견교환, 중재, 최종 게재여부 판정, 게재순, 발행부수와 전자간행형식, 심사료 및 투고료 결정의 권한을 갖는다.
② 편집위원은 학회와 회원의 명예를 지키고 학회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편집위원은 편집위원회 활동과 관련하여 취득한 회원의 개인적인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여서는 안 된다.
제 2장 발행 및 투고
제5조 (발행)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는 매년 4회 발행하며, 발행일은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로 한다.
제6조 (투고 자격)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정회원(공저 논문인 경우는 주저자, 교신저자는 정회원일 것)
제7조 (논문 접수)
① 논문은 본 학회가 운영하는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이하 “온라인 시스템”으로 통칭)으로만 접수하며, 수시로 접수하되 각 호의 접수마감일은 학회지 발간일 1달 전으로 한다.
-
- 1호(3월말 발행)는 2월말일까지 수시 접수
- 2호(6월말 발행)는 5월말일까지 수시 접수
- 3호(9월말 발행)는 8월말일까지 수시 접수
- 4호(12월말 발행)는 11월말일까지 수시 접수
② 접수일은 온라인 시스템에 등록한 날로 한다.
③ 온라인 시스템은 학회 홈페이지의 첫 화면에 눈에 잘 띄는 곳에 링크를 제공하여 학회원 및 독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④ 온라인 시스템에는 제목, 저자명, 소속기관, 연락처, 영문초록(Abstract) 및 키워드 등을 명기하지만, 업로드하는 심사논문의 본문파일에는 제목, 영문초록(Abstract) 및 키워드만 기재하고 주석과 참고문헌에서 필자의 글은 공란 없이 삭제한다.
⑤ 투고논문의 저자들은 논문의 작성 및 출판에 공동의 책임을 지며, 저작권 이양동의서에 자필 서명하여야 한다.
⑥ 투고자는 논문 온라인 투고 시, 반드시 학회 윤리규정에 동의하여야 한다.
제8조 (심사료 및 게재료)
① 투고자는 아래와 같이 학회에서 정한 소정의 심사비와 논문 게재시의 게재료를 다음의 입금처로 납부하여야 한다.
-
- 심사료 : 6만원
- 게재료 : 15만원
- 논문 1면 하단에 외부지원이 표시된 논문의 게재료 : 30만원
- 입금처 : 신한은행 100-032-471760 예금주 (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② 논문의 인쇄 페이지 수가 20페이지를 초과하면 소정의 초과료(페이지당 2만원)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3장 투고 논문의 심사
제9조 (심사위원)
① 심사위원은 편집위원회에서 추천한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로 정한다.
② 심사위원은 3인으로 한다.
③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에게는 소정의 심사료를 지불한다.
제10조(투고논문의 심사)
① 편집위원회는 접수한 논문을 추천된 3명의 심사위원에게 1차(초심)로 심사를 위촉하고 그 심사결과를 토대로 게재가부를 결정한다.
② 재심사 논문의 심사는 초심 심사위원이 하며, 그 심사결과를 토대로 게재가부를 결정한다.
③ 논문의 심사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1. 투고된 논문의 심사에서는 논문의 독창성, 논문의 기여도, 논문의 중요성, 논문의 조직성, 논문의 표현력, 논문의 타당성 등의 항목 등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다. 논문의 주요 평가 항목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논문의 주요 평가 항목 >
- 논문의 독창성: 논문이 다루는 연구 명제, 연구의 방법, 관찰의 대상, 혹은 전체적 서술의 형태가 독창적이며 기존 연구와 차별되는가?
- 논문의 기여도: 논문이 학문의 발전과 진보에 기여하는가? 새로운 현상의 발견, 현상의 새로운 이해, 이를 위한 새로운 이론체계의 구축에 기여하는가?
- 논문의 중요성: 논문이 다루는 주제가 적절하고, 중요한 주제인가?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이 큰가?
- 조직성: 논문의 조직과 구성이 논리적으로 타당한가? 학술논문으로서 갖추어야 기존 연구의 검토과정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형태를 갖추고 있는가?
- 표현력: 논문의 표현 방식이 적절한가? 논문의 서술이 전체적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는가?
- 타당성: 전체적으로 논문이 학술논문으로서의 타당성을 가지는가? 논문이 학문적 문제의식과 과학적 탐구, 그리고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 노력의 결과로 간주될 수 있는가?
2. 논문 제목, 영문초록(Abstract), 서론과 결론이 적절한지 여부,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방정식)의 정확성 여부, 논문의 분량, 참고문헌 인용의 적절성 등 학회의 제반 논문 편집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④ 논문의 심사 절차는 다음과 같다.
-
1. 편집위원회 개최 및 심사위원 추천의뢰(투고 마감일 후 1주 이내)
2. 심사의뢰(1~2주)
3. 심사결과의 판정(2~3주) 및 수정(2~4주 혹은 다음 호 편집마감일 이전)
4. 게재 확정시점은 심사평에 의한 제반 조치·수정이 끝나고 최종원고가 도착한 날로 한다.
⑤ 초심 및 재심사의 심사판정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
-
1. 초심 판정기준(가: 게재 可, 수: 수정 후 재심, 부: 게재 不可)
판정유형 |
판정기준 |
심사위원1 |
심사위원2 |
심사위원3 |
가 |
가 |
가 |
게재확정 |
가 |
가 |
수 |
가 |
가 |
부 |
가 |
수 |
수 |
재심사 |
가 |
수 |
부 |
수 |
수 |
수 |
수 |
수 |
부 |
가 |
부 |
부 |
게재불가 |
수 |
부 |
부 |
부 |
부 |
부 |
2. 재심 판정기준(가: 게재 可, 부: 게재 不可)
판정유형 |
판정기준 |
심사위원1 |
심사위원2 |
심사위원3 |
가 |
가 |
가 |
게재확정 |
가 |
가 |
부 |
가 |
부 |
부 |
게재불가 |
부 |
부 |
부 |
- ⑥ 투고자는 심사자의 지적 사항이나 수정요구 사항 또는 심사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때 심사자가 투고자의 이의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원회가 투고자와 심사자의 의견을 종합 검토하여 최종 판정을 내린다. 단, 심사자와 투고자 간 모든 의견교환은 반드시 위원회를 매개로 하여 익명의 문서로 이루어져야 한다.
- ➆ 심사결과 재심판정을 받은 후 기간(30일) 내에 제출하지 않을 시 게재 불가로 처리한다.
제4장 편집 및 투고논문 작성 지침
제 11조 (논문의 내용)
시스템다이내믹스 이론 및 그 응용에 관하여 연구 성과가 인정되는 독창적인 내용의 학술연구로서 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심사의뢰 중인 원고는 투고할 수 없다.
제 12조 (논문의 구성)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
1. 논문제목(국문, 영문)
2. 연구자명(국문, 영문)
3. 영문초록(Abstract)
4. keyword(국문과 영문 병기)
5. 본문
6. 연구자 소속기관 및 직위, 이메일(첫 페이지 하단), ※ 반드시 제1 저자 및 공동 저자를 명기한다.
※ 논문 저자가 현재 소속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 최종 소속, 직위, 재학년도를 학회에 별도로 제출한다.
7. 각주(영문인 경우 Footnotes)
8. 참고문헌(영문인 경우 References)
9. 부록(모델 방정식 등)
제 13조 (논문의 분량)
A4 용지 40자 35행 기준 본문 20매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초과 부분은 소정의 초과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 14조 (논문의 작성 및 편집)
논문은 다음의 규정을 준수하여
글이나 MS Word로 작성한다.
① 논문제목(국문, 영문)
-
1. 국문제목은 한글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만 한자(漢子)를 병행 표기한다.
2. 영문제목은 전치사와 접속사를 제외하고 대문자로 시작한다.
② 저자명(국문, 영문)
-
1. 영문명의 표기는 성, 이름 순으로 한다.
‣ 예) 홍길동** Hong, Kil-Dong**
2. 2인 이상 투고자는 제1 저자, 공동 저자 순으로 한 줄로 표기한다. ‣ 예) 홍길동* · 장보고**
Hong, Kil-Dong* · Jang, Bo-Go**
③ 영문초록(Abstract)
-
1. 영문초록의 내용은 ① 연구목적(연구의의, 연구가설 등) ② 연구방법 ③ 연구결과 ④ 결론 등으로 구성한다.
2. 영문초록의 분량은 150단어 내외 또는 A4용지 12줄 이내로 한다.
3. 영문초록에서 약어의 사용은 처음에는 원래의 용어를 사용하고 괄호 안에 약어를 쓴다. 그다음부터는 약어를 사용한다.
‣ 예) Urban Dynamics(UD)로 기재한다.
4. 영문초록은 3인칭으로 표현한다.
‣ 예)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5. 영문에서 대문자의 사용
‣ 고유명사는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며, 약어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④ 키워드는 영문초록(Abstract) 아래에 5단어 이내의 주제어(국문)와 keyword(영문)를 각각 명기한다.
‣ 예) 주제어: 개발밀도, 기반시설, 도시동태모델, 도시성장관리, 시스템다이내믹스
Keywords: Development Density, Facility, Urban Dynamics Model, Urban Growth Management, System Dynamics
⑤ 연구자 소속 및 기타 표기
-
1. 소속은 첫 페이지 좌측 하단에 각주의 형태로 다음 예와 같이 기입한다.
‣ 예) * OO대학교 OO학과 교수(제1저자, qwer@asdf.com)** OO대학교 OO학과 박사과정(공동저자, poiu@zxcv.com)
2. 연구비 지원에 대한 내용은 첫 페이지 좌측 하단의 연구자 소속 위에 기재한다. 표식은 국문 제목 우측상단에 첨자(*)로 표기한다.
⑥ 본문의 목차 체계는 I., 1., 1), (1), ①의 원칙을 따른다.
⑦ 사용어 및 표기
-
1. 논문의 사용어는 국문과 영어로 제한한다.
2. 사용문자 및 외래어 표기
-
가. 외래어는 한글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한글로 표기함으로서 난해한 외래어는 1회에 한하여 ( )속에 원어를 쓴다.
나. 외래어의 표기는 모두 소문자로 하되, 고유명사의 첫 자, 대문자를 쓰는 약어, 교육부 과학기술용어 등은 예외로 한다.
다. 외국학자의 이름은 원어로 쓴다.
‣ 예: Forrester(1969)에 따르면…….
3. 숫자 및 수식
-
가. 숫자
- 수량을 표시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 1 이하의 소수점 앞에 반드시 0을 쓴다.
- 분수는 가급적이면
로 하지 않고 1/4로 쓴다.
나. 수식
- 수식은 줄(행)을 바꾸어 일행으로 씀을 원칙으로 한다.
- 수식이 2행 이상에 걸칠 때에는 “=”기호부터 줄(행)을 바꾸되 그 위치를 통일한다. 단, 이에 따를 수 없을 때는 “+”, “-”, “x” 또는 “ ” 기호부터 줄을 바꾼다.
- 수식의 첨자는 논문집으로 나왔을 때 보일 정도의 크기로 한다.
- 수식은 수식(1), 수식(2) 등의 일련번호를 넣는다.‣ 예: ----------(1).
다. 모든 단위는 미터법으로 통일함을 원칙으로 한다.
⑧ 표, 그림(사진, 지도, 그래프 등) 작성
-
1. 표
-
가. 표는 본문에 직접 삽입하되 크기는 행의 폭에 맞게 한다.
나. 표의 일련번호와 제목은 표의 상단 가운데에 기재한다.
다. 표 내용에 대한 출처는 표 밑 좌측에 기재한다.
‣ 예)
< 표 1 > 2007년 서울시 주택재개발 사업시행 현황 캡션
구분 |
구역수 |
시행면적(㎡) |
정비건물(동) |
건립가구(가구) |
합계 |
분양주택 |
임대주택 |
계 |
411 |
17,558,440 |
145,966 |
329,316 |
272,747 |
56,569 |
미시행 |
64 |
2,098,261 |
14,495 |
37,235 |
31,556 |
5,679 |
시행중 |
52 |
2,498,808 |
20,615 |
37,255 |
33,361 |
3,894 |
준 공 완료 |
41 254 |
2,213,468 10,747,904 |
20,139 90,717 |
46,011 208,815 |
38,351 169,479 |
7,660 39,336 |
자료: 서울시(2020)
2. 그림(사진, 지도, 그래프에 공통 적용)
-
가. 그림은 원본에 직접 삽입함을 원칙으로 한다.
나. 그림의 일련번호와 제목은 그림 아래 가운데에 기재한다.
다. 그림 내용에 대한 출처는 그림 밑 좌측에 기재한다.
‣ 예)

출처 : 김도훈․문태훈․김동환(1999). p13.
[그림 1]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링 절차
[그림 1] 주택재개발지역의 사회적 배제 메커니즘 캡션
⑨ 본문주의 표기 방법
-
1. 인용·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히는 참고주(reference notes)는 다음의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
가. 저자명, 발행연도를 표기하며, 필요시 해당 면을 함께 표기한다.
‣ 예)
- 문태훈(2002)은……라고 해석하였다.
- Lynch et al.(1990: 10)에 따르면,
- ......로 정리할 수 있다(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10).
- ......를 제시하였다(Wolstenholm & Coyle, 1983).
나. 2편 이상의 논문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발표년도 순으로 표기한다.
‣ 예)
- ......이다(김길동, 1980; 홍길동, 1991; 이길동, 1992).
다. 동일저자가 같은 해에 발표한 2편 이상의 저술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발표년도 다음에 a, b, c, 등을 붙여 구분한다.
‣ 예)
- ......이다(홍길동, 2000a; 홍길동 b)
2. 본문주 표기한 자료의 상세 정보는 원고 끝부분 참고문헌(reference list)에 제시하여야 한다.
3. 원고의 내용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내용 주(content notes)는 해당 부분 오른쪽 위에 논문 전체에 걸쳐 일련번호를 매기고 페이지 하단에 각주로 처리한다.
⑩ 참고문헌의 표기 방법
-
1. 참고문헌은 국내문헌과 외국문헌(동.서양의 순)으로 구분하되 저자의 姓을 기준으로 전자는 가나다순으로 후자는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2.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이 저자, 출판년도, 제목, 출판사항(학술지명, 권호수: 게재페이지)의 순서로 기재한다.
‣ 인용문헌 표기방법 예시
[국내문헌 예]
-
⧠ 학술지 논문
- 문태훈·김병석. (2009). “인과지도로 본 한국의 성장의 한계”.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0(3): 47-79.
-
⧠ 학위논문
- 김병석. (2013). 「도시공간구조의 특성이 이산화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 단행본
-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서울: 대영문화사.
-
⧠ 보고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저탄소 녹색성장과 공명하는 만물지능화 IT Korea 2030 정책설계연구」.
-
⧠ 신문기사
매체명. (보도일자). “기사명”.
- 동아일보. (2013. 5. 20). “박근혜 정부의 도시재생정책”.
단, 기고문 등 저자 표기 필요한 경우: 저자명. (보도일자). “기사명” 매체명.
- 고길동. (2020. 10. 22). “그린뉴딜, 어디로 가야 하나”. 한겨례.
[외국문헌 예]
-
⧠ 학술지 논문
- Morecroft, J. D. W. (1982). “A critical review of diagramming tools for conceptualizing feedback system models”. Dynamica, 8(1): 20-29.
- Mayer, H., Kay, L., & French, J. (1965). “Split roles in Performance Appraisal”. Harvard Business Review, 43(1): 123-128.
-
⧠ 학위 논문
- Hong, Kil-Dong.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n CO2 Emission. University of Chung-Ang, Doctoral dissertation.
-
⧠ 단행본
- Forrester, J. W. (1961). Urban Dynamics. Cambridge: The MIT Press.
단, 단행본의 한 chapter를 사용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Ha, Seoung-Kyu. (1987). “Chapter Ⅳ: KOREA”. In Seoung-Kyu Ha(ed.), Housing Policy and Prctice in Asia. New York: Croom Helm.
-
⧠ 보고서
- IMF. (2019). World Economic Outlook Reports.
-
⑪ 용지의 설정 규격은 다음과 같다.
용지종류 |
용지방향 |
여백주기(mm) |
위쪽 |
아래쪽 |
왼쪽 |
오른쪽 |
머리말 |
꼬리말 |
제본 |
198 * 267 |
세로 |
28 |
26 |
32 |
32 |
13 |
0 |
한쪽 |
⑫ 글자 및 문단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글꼴 |
크기 |
장평 |
자간 |
줄간격 |
정렬 |
들여쓰기 |
내어쓰기 |
여백 |
좌 |
우 |
위 |
아래 |
국문논문제목 |
신명 태고딕 |
20 |
100 |
0 |
130 |
가운데 |
0 |
0 |
0 |
0 |
0 |
0 |
한글저자명 |
신명 중고딕 |
12 |
100 |
0 |
130 |
가운데 |
0 |
0 |
0 |
0 |
0 |
0 |
영문논문제목 |
Times New Roman |
15 |
100 |
0 |
130 |
가운데 |
0 |
0 |
0 |
0 |
0 |
0 |
영문저자명/소속 |
Times New Roman |
12 |
100 |
0 |
130 |
가운데 |
0 |
| 0 |
0 |
0 |
0 |
0 |
영문초록본문 |
HCI Morning Glory |
9.6 |
96 |
-5 |
160 |
양쪽 |
10 |
0 |
0 |
0 |
0 |
0 |
주제어 |
신명 중고딕 |
10.5 |
97 |
-10 |
170 |
왼쪽 |
0 |
0 |
0 |
0 |
10 |
0 |
각주 |
신명 신명조 + AmeriGarmnd BT (minion pro) |
9 |
95 |
-10 |
150 |
양쪽 |
0 |
11 |
2.5 |
0 |
0 |
0 |
본문 |
윤명조120 + AmeriGarmnd BT (휴먼명조+minion pro) |
10.5 |
95 |
-8 |
170 |
양쪽 |
10 |
0 |
0 |
0 |
0 |
0 |
표/그림제목 |
신명 중고딕 + AmeriGarmnd BT (minion pro) |
9 |
95 |
-10 |
150 |
가운데 |
0 |
0 |
0 |
0 |
0 |
0 |
표본문 |
신명 신명조 + AmeriGarmnd BT (minion pro) |
9 |
95 |
-8 |
150 |
가운데 |
0 |
0 |
0 |
0 |
0 |
0 |
참고문헌 |
윤명조120 + AmeriGarmnd BT (휴먼명조+minion pro) |
10.5 |
95 |
-8 |
170 |
양쪽 |
0 |
34.8 |
0 |
0 |
0 |
0 |
제15조 (게재원고)
편집위원회로부터 게재확정 최종통보를 받은 때는 수정한 최종 원고를 온라인 시스템에 업로드 하여야 한다.
부 칙
본 규정은 개정일부터 시행한다.